본문으로 건너뛰기

나은정보통

국제나은병원의 소식 및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공지사항 공지사항 언론보도 언론보도 나은컬럼 나은컬럼 치료후기 치료후기 나은TV 나은TV

나은컬럼

{검진센터_문다운원장 칼럼] 대장 흑색증 23-07-01 15:30 4,006

00e2d277a91f7a3adfdf2f6943b1576d_1690352660_9884.jpg
<용어>
1857년 독일의 병리학자 Dr. Rudolf Virchow에 의해서 1857년 독일의 병리학자 Dr. Rudolf Virchow에 의해서 처음 기술된 용어로 현재까지도 장관의 색소침착을 나타내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발달된 현미경을 이용한 흑색증의 조직학적 분석에서는 대장 흑색증의 대부분은 melanin 침착과는 관련이 없으며, lipofuscin 또는 lipofuscin을 탐식한 대식세포(machrophage)가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에 침착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대장흑색증은 잘못된 용어이며, 좀 더 정확한 용어로는 “nigrosis coli” 라는 용어도 제안되고 있으나 150년 가까이 관습적으로 사용해 왔기에 관례상 melanosis coli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처음 기술된 용어로 현재까지도 장관의 색소침착을 나타내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발달된 현미경을 이용한 흑색증의 조직학적 분석에서는 대장 흑색증의 대부분은 melanin 침착과는 관련이 없으며, lipofuscin 또는 lipofuscin을 탐식한 대식세포(machrophage)가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에 침착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대장흑색증은 잘못된 용어이며, 좀 더 정확한 용어로는 “nigrosis coli” 라는 용어도 제안되고 있으나 150년 가까이 관습적으로 사용해 왔기에 관례상 melanosis coli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역학>

대장 흑색증은 대부분 anthraquinone 계통의 하제 (cascara, senna, aloe 등)을 장기 복용한 환자에서 호발한다. 따라서 대장 흑색증의 역학적 특성은 변비의 역학적 특성과 공유하는 면이 많은데,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좀 더 흔한 양상을 보인다. 


<특징>

대장 흑색증이 대장암이나 대장 용종, 또는 장무력 증과 관련이 있을 거라는 이전의 믿음과는 달리 여러 연구에서 대장의 기질적인 질환과는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대장 흑색증으로 인하여 마치 색소 내시경을 사용한 것처럼 대장 용종이나 대장암이 더 쉽게 발견될 수 있다는 보고들도 많다. 


<내시경적 특징>

말단회장부나 대장의 원위부 (대개 에스결장하부, 직장) 는 극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색소침착으로부터 정상 점막이 보존되는 경우가 많은데, 원위부에는 대변 통과 시간이 빠르고 배변 압력이 강하여 장관 점막과 외부물질과의 접촉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이 이를 설명하는 기전으로 이해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장 흑색증은 해당 복용 약제를 중지하면 6개월 안에 자연적으로 정상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진단/치료>

전형적인 경우 대장 흑색증은 내시경 화면상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그 자체로는 문제가 되는 질환은 아니나 대부분의 환자가 습관적으로 하제를 복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올바른 배변습관에 대한 교육, 필요하다면 적절한 약제(장운동 촉진제, 비습관성 하제)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