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나은병원의 소식 및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 [관절센터_이준환원장 칼럼] 회전근개파열 | 22-05-01 16:15 | 2,331 |
|---|---|---|
|
회전근개는 견갑골로부터 기시하여 어깨를 감싸고 있는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견갑하근(subscapularis) 4개 근육의 복합체이며 상완골의 안정성을 유지 시키며 다양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원인과 증상 회전근개파열은 오구견봉궁의 형태학적 이상, 혈액순환장애, 과사용, 건 자체의 퇴행성 변화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주로 극상건 파열이 많고, 건이 견봉과 상완골두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압박 을 받아 점차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회전근개파열 증상으로는 어깨관절의 통증, 근력 약화, 운동 제한과 함께 야간통이 있으며 완전 파열의 경우 팔을 위로 들어 올릴 수가 없다. 회전근개파열 치료 회전근개파열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이 되며, 비수술적 치료에는 운동치료, 주사치료, 약물치료, 체외충격파 치 료 등이 있다. 수술적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나 급성 파열이 동반된 경우 에 시행한다. 회전근개파열 비수술적치료 •초기 통증 경감과 관절운동 범위의 증가에 중점 •점진적 관절가동범위 운동 •점진적 근력 강화 •초기 도수운동시 삼각근의 적극적인 운동은 피한다. •점진적 견갑골 안정화 운동 실시 회전근개파열 수술적치료 •수술 직후 수동적 관절운동의 조기 회복이 가장 중요 •조기 역동적 어깨관절의 안정성 회복 •회전근개 근력의 점진적인 회복 •어깨관절의 운동성과 조직의 치유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 시행되어야 한다. 회전근개파열 수술적 치료의 근본 목적은 통증의 경감이며 근력의 향상, 기능의 회복, 관절운동 범위의 증가 등은 부가적인 목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