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나은병원의 소식 및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 [최원서 원장_칼럼] 추석전후 명절증후군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 16-08-31 13:12 | 4,781 |
|---|---|---|
|
추석 전후 명절증후군: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하루종일 음식과 설거지를 하고 나면 허리, 엉치, 다리 안 아픈 곳이 없다. 명절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엔
뭐가 있을까? 나 악화될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중간 중간 휴식이 필수. 틈틈이 휴게소에 들러 5분 정도 스트레칭을 해줌으로써 근육의 긴장 을 풀어주도록 한다. 또한 바른 운전자세가 중요하다. 등받이는 110도 정도로 유지하고, 엉덩이를 좌석 깊숙이 넣고 등을 등받이에 붙이 고, 쿠션을 허리에 받치는 것도 허리의 굴곡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주부 중 91%는 명절증후군을 경험한다고 하는데 우울감 등 정신적 휴유증도 동반된다. 주방에 장시간 구부정한 같은 자세로 서 있거나, 같은 자세로 쪼그려서 음식준비를 하다 보면 허리와 무릎관절에 통증이 유발되고 심하면 신경근 자극으로 다리 통증이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장시간 주방에서 서서 일할 때는 바닥에 목침을 놓고 한쪽 다리를 번갈아 올렸다 내리는 등의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손님상을 들 여 갈 때는 최대한 상을 몸 쪽에 붙여서 들고 가는 것이 좋다.
퇴행성 추간판질환이나 급성 추간판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발까지 내려가는 혈액순환이 원활 히 이뤄지지 않아 다리가 당기고 저리기도 하는데, 방치하게 되면
만성화될 수 있다. 된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심한 경우 경막외 주사, 나 신경차단술, 프롤로증식치료, 또는 신경성형술 등 간단 하고 당일 귀가 가능한 시술로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